본문 바로가기
건설 이슈 스터디

[건설 이슈] 건설 경기 공급 불안 요인 3가지 (feat. BOK 이슈노트)

by 알았어인마 2022. 6. 16.
반응형

 

0. 오늘 탐구해 볼 뉴스 :

 

한은이 보는 건설 경기, 원자재 외 변수 '노동시장 불안'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 연합뉴스[한스경제=김현기 기자] 한국은행(한은)이 올해 건설 경기 회복세가 예상보다 견고하지 못하다고 진단한 뒤 그 이유로 글로벌 원

im.newspic.kr

 

1. 건설자재 가격급등 및 공급 불안정 :

- 건설자재 가격 급등 : 코로나 확산에 따른 공급제약과 국내 외 수요회복 등의 영향으로 건설자재 생산시 투입되는 원자재(철광석, 유연탄 등) 가격이 20.4/4분기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며,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로 가격상승 압력이 더욱 가중

- 건설자재 공급 불안정 : 건설자재의 경우 2018년 이후 건설경기의 장기부진으로 국내 생산능력이 축소됨에 따라 수요 회복에도 불구하고 생산 확대가 제약되고 있으며 우크라이 나 사태, 빈번한 물류파업 등으로 공급망도 불안정한 상황

 

2. 외국인 및 숙련 인력 부족 :

- 외국인 근로자 급감 : 코로나19 확산 이후 외국인에 대한 입국 제한이 강화됨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 의존도가 높 은 골조공사, 지방(地方)공사 등을 중심으로 인력수급에 차질이 발생

- 숙련 인력 부족 및 고령화 심화 : 최근 건설업 취업자수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단순노무근로자 등 비숙련 인력을 중심으로 신규 고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숙련 인력에 대한 공급부족 현상은 지속. 취업자수 증가는 50~60대 이상의 고연령층을 위주로 이루어졌고 상대적으로 노동생산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40대 이하는 감소하였으며, 기능인력의 경우에도 최근 50대 이상 고연령층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

 

3. 근무시간 축소 및 안전관리 강화 :

- 건설업의 평균 근로시간은 과거부터 추세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최근에는 공공공사(정 부·지자체·공공기관 발주) 일요휴무제 시행(20.12월),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건설 현장 확대(21.7월) 등의 제도적 변화도 근로시간 축소 요인으로 가세.

- 광주 붕괴사고 발생(1.11일) 이후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가 강화되면서 일부 공정을 중심으로 공사기간 증가.

 

~ BOK 이슈노트 '[제2022-20호] 최근 건설경기 상황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공급제약 요인을 중심으로' 내용을 요약해보았습니다.

 

[제2022-20호] 최근 건설경기 상황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공급제약 요인을 중심으로 | BOK 이슈노

한국은행 조사국의 BOK 이슈노트를 제공하는 게시판

www.bok.or.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