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 건축전공 문제풀이/건축시공

건축기사 건축시공 2011년 1회 문제 분석 - (하)

by 알았어인마 2022. 6. 7.
반응형

 

 

2011년 1회 건축시공 문제 분석 (하) 입니다.

이 글은 제가 건축공학 전공과목을 공부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오류가 있을 경우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31. ALC 공사의 블록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간쌓기는 안쪽 벽을 주벽체로 한다.

② 블록 보수작업은 설치 후 1일 이상 경과 후에 시행한다.

③ 연속되는 벽면에서 일부를 나중쌓기 할 경우는 층단 떼어쌓기로 한다.

④ 줄눈부의 충전 모르타르 작업 후 기온변화가 0℃ 이하가 되는 경우는 동결방지를 위해 시트 등으로 보양해야 한다.

 

 

ALC공사의 블록쌓기

ALC 블록 공사에서 공간쌓기는 바깥쪽 벽체를 주벽체로 합니다.

 

ALC블록에 관해 잘 설명된 글이 있어서 링크합니다.

링크 : https://blog.naver.com/sosun0/221488742965

 

 


 

 

32. 높이 3m, 길이 200m의 벽을 시멘트 벽돌 1.0B 쌓기로 할 때 필요한 벽돌의 정미량은? (단, 벽돌규격 : 190×90×57㎜)

① 84,500매

② 89,400매

③ 92,000매

④ 98,300매

 

 

벽돌의 수량 산출

- 벽면적×단위수량=벽돌 수량

- 단위수량 (75, 75×2-1, 75×3-1, 75×4-2 요렇게 기억하면 쫌 수월?)

0.5B 1.0B 1.5B 2.0B
75매/ 149매/㎡ 224매/ 298매/

추가) 벽 두께  (90, 90+10+90, 90+10+90+10+90 요렇게 기억하면 쫌 수월!)

0.5B 1.0B 1.5B 2.0B
90mm 190mm 290mm 390mm

 


 

 

33. 수밀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영장, 지하실 등 압력수가 작용하는 구조물에 시공하는 콘크리트이다.

② 골재는 입도분포가 고르고 흡수성이 작고 밀도가 큰 것을 사용한다.

③ 콘크리트내의 기포는 수밀성을 저하시키므로 AE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④ 콘크리트의 다짐을 충분히 하며 가급적 이어치기 하지 않는다.

 

 

수밀콘크리트

수밀콘크리트란?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특별히 밀실하게 만든 콘크리트

- 지하실, 수중 구조물, 지붕 슬라브 등에 사용한다. (특별하게 밀실하게 만든 콘크리트니깐)

- 물시멘트비 50% 이하로 되도록 낮춘다. (일반콘크리트는 60% 이하니까 수밀con'c은 시멘트 비율을 더 많이하는구나!)

- 가급적 이어치기 생기게 하지 않기! (이어 쳐버리면 줄눈이 생기고 줄눈 사이로 틈이 생기니까 밀실하지가 않지.)

- Con'C 표면마감은 진공처리방법 사용 (타설 직후 진공매트를 씌워 과잉수 제거와 다짐작업을 하는 과정. 초기강도 UP!)

- 타설이 완료된 콘크리트면은 습윤상태로 유지! 2주이상 물에 접하게 하여 건조하지 않도록!

- 부어넣는 Con'C 온도 30도 이하, 진동기 사용 원칙이다. (온도 너무 높으면 반죽이 되져서 거푸집에 밀실하게 안들어가)

- 단위 굵은 골재량은 되도록 크게 한다.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잔골재율 낮추는게 최적 설계라고 학교에서 배웠다!)

- AE제 사용하여 워커빌리티 향상시킨다. (거푸집에 밀실하게 차도록 반죽을 보들보들하게 함.)

 

 


 

 

34. 벽돌벽 균열의원인 중 계획·설계상의 미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건물의 평면, 입면의 불균형

② 온도 및 습기에 의한 재료의 신축성

③ 벽돌벽의 길이, 높이에 비해 부족한 두께

④ 문꼴 크기의 불합리 및 불균형 배치

 

 

벽돌부 균열 원인

ⓐ 계획, 설계상의 미비와 관계된 원인

- 기초의 부동침하

- 건물의 평면, 입면, 내력벽의 불균형

-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 부족과 신축성

- 문꼴 크기의 불합리 및 불균형 배치

ⓑ 시공상의 결함과 관계된 원인

- 온도 및 흡수에 의한 재료의 신축성

-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 부족

- 이질재와의 접합부

(어떤 원인이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 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하겠죠?)

 

 


 

 

35. 이형철근이라도 단부에 반드시 갈고리(hook)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 중 갈고리(hook)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① 스터럽

② 띠철근

③ 굴뚝의 철근

④ 지중보의 돌출부분의 철근

 

 

갈고리(Hook) 설치 위치

(철근 접은게 갈고리다... 당연한 얘기들)

- 원형철근

- 스터럽 및 띠철근

- 굴뚝의 철근

- 기둥 및 보(지중보는 제외)의 돌출부분 철근

 

 

 


 

 

36. 지붕잇기 중 금속판 지붕 및 금속판 잇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금속판 지붕은 다른 재료에 비해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다.

② 겹침의 두께가 작으며 물매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③ 열전도가 크고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이 작기 때문에 바탕재와의 연결이 용이하다.

④ 대기 중에 장기간 노출되면 산화하며, 염류나 가스에 부식되기 쉽다.

 

 

금속 지붕 재료의 특징

- 아연도금 철판은 동판과 접촉하면 침식, 무연탄가스(CO)에 약함 (칼카나마 알아철.... 이온화 경향성 소싯쩍에 외워봤죠?)

- 지붕잇기에 사용되는 금속판은 함석판(아연도금 철판), 동판, 알루미늄판이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것은 함석판!

- 금속판을 꺾어접는 거멀접기를 해야 하므로 겹침의 두께가 커집니다. (거멀접기란? 금속판은 열전도율이 커서 온도변화에 대한 신축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금속판 잇기할 때 거멀접기를 한다!)

- 금속판 지붕은 다른 재료에 비해 가볍고, 시공이 용이합니다.

 

 


 

 

37. 기계가 위치한 곳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Power Shovel

② Dragline

③ Back hoe

④ Scraper

 

 

토공사용 기계

- 파워쇼벨 :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 파기

- 드래그쇼벨 : 6.4m 정도 깊이 이내 경질지반 굴착

- 드래그라인 : 8m 정도의 연질지반의 낮은 곳의 굴착

- 클램쉘 : 좁은 곳의 수직 터파기, 18m까지 가능

- 불도져 : 배토작업, 조종원과 조수가 함께 필요

- 그레이더 : 정지작업용, (로우더:상차작업용)

- 스크레이퍼 : 굴착-싣기-운반-사출-고르기-다지기, 토사의 운반용 자주부 장비, 중거리 정지공사에 적당

 

 

파워 쇼벨은 이렇게 생겼다고 하네요 (출처 : https://info.japaneseusedmachinery.com/)

 


 

 

38.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설계기준강도가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40MPa 이상인 것을 말한다.

② 물시멘트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한다.

③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 잔골재율은 소요워커빌리티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적게 한다.

④ 슬럼프값은 유동화콘크리트일 경우 250㎜ 이하로 한다.

 

 

고강도 콘크리트

(암기 랄까?)

- 강도 규정 : fck ≥ 40Mpa (고강도 경량골재 콘크리트 27Mpa)

- 물결합재비 : 50%이하

- 단위수량 : 180kg/m3 이하 가능한 작게

- 잔골재율 : 가능한 작게

- 단위 시멘트량 : 가능한 작게

- 공기 연행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 슬럼프치 150mm이하 (유동화 경우 210mm이하)

- 실리카흄 : 고강도 제조에 반드시 필요, 시멘트량의 5~15%, 고성능 감수제와의 병용이 필수

- 골재 실적율 : 59%이상

 

 


 

 

39. 시멘트 액체방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체 표면에 시멘트 방수제를 도포하고 방수모르타르를 덧발라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② 옥상 등 실외에서는 효력의 지속성을 기대할 수 없다.

③ 시공은 바탕처리→지수→혼합→바르기→마무리 순으로 진행한다.

④ 시공 시 방수층의 부착력을 위하여 방수할 콘크리트 바탕면은 충분히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시멘트 액체 방수

- 시멘트 액체방수는 방수 모르타르의 부착력 증진을 위하여 반건조상태에서 시공한다.(충분한 건조가 필요하지 않다.)

시멘트 액체 방수는 요런거

이미지 출처 : 방수공사 중 화장실 시멘트액체방수 및 조인트부위는 논타르우레탄으로 공사를 진행한 현장사진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40. 쇄석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래의 사용량을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서 많아진다.

② 쇄석은 각이 둔각인 것을 사용한다.

③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시멘트 페이스트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④ 깬자갈 콘크리트라고도 한다.

 

 

쇄석콘크리트

- 쇄석(=깬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로 시공연도가 엄청 불량하여 AE제를 반드시 사용하고 모래사용량을 늘려야한다.

- 쇄석 콘크리트는 시멘트페이스트의 부착력이 향상되어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10~20%정도 강도가 증가한다!

 

 


 

 

2011년 1회 건축시공 End.

다음 글은 2011년 2회차 건축시공 분석 고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