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회 건축시공 문제 분석 (상) 입니다.
이 글은 제가 건축공학 전공과목을 공부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오류가 있을 경우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21. 다음 설명에서 의미하는 공법은?
① 고결안정공법
② 치환공법
③ 재하공법
④ 탈수공법
고결안정공법
: 지반개량공법의 하나. 시멘트나 약액의 주입 또는 동결에 의해 지반의 불투수화 혹은 강도를 증가시키는 공법.
[출처 : 건축구조용어사전, 대한건축학회]
참고할만한 사이트 : 고결공법 (tistory.com)
고결공법
1. 공법개요 및 원리 고결공법은 지반을 구성하는 토립자 사이를 일체화(고결)시켜 지반을 개량하고자 하는 공법으로 개량방법 및 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구 분 공 법 개 요 주입공
soju1117.tistory.com
22. 경량콘크리트공사에서 경량골재의 취급 및 저장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골재의 짐부리기, 쌓아 올리기 및 물뿌리기를 할 때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② 골재를 쌓아둘 곳은 될 수 있는 대로 물빠짐이 좋게 한다.
③ 골재를 쌓아둘 곳은 직사광선을 많이 받아 골재가 쉽게 건조될 수 있는 장소를 택한다.
④ 골재에 때때로 물을 뿌리고 표면에 포장 등을 하여 항상 같은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경량골재의 취급 및 저장
: 경량골재는 배합 2~3일 전에 물을 뿌려 습윤상태를 유지하고, 표면건조 내부포수 상태로 사용해야 하므로 직사광선을 피하는 곳에 보관한다!
23.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철골보가 일체로 되는 합성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어커넥터가 필요하다.
② 바닥판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크다.
③ 자제를 절감하므로 경제적이다.
④ 경간이 작은 경우에 주로 적용한다.
합성구조
: 강재(鋼材)와 콘크리트 등 다른 재료가 한 몸으로 되어서 작용하도록 고려된 구조. [출처 : 토목용어사전]
이미지 출처 : 아름다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 금속구조물,창호공사업협의회 (openhaja.com)
24. 타일 시공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여름에 외장타일을 붙일 경우에는 하루 전에 바탕면에 물을 충분히 적셔 둔다.
② 타일을 붙이기 전에 바탕의 들뜸, 균열 등을 검사하여 불량부분은 보수한다.
③ 타일면은 일정간격의 신축줄눈을 두어 탈락, 동결융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④ 타일을 붙이는 모르타르에 백화방지를 위하여 시멘트 가루를 뿌리는 것이 좋다.
백화 현상
: 표면에 하얗게 곰팡이가 핀것처럼 생기는 것. 콘크리트 속의 물질이 균열이나 밀실하지 않은 모르타르를 통해 표면으로 이동하여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흰 물질이 생기는 것.
ⓐ 원인 : 시멘트의 수산화칼슘의 주성분인 생석회(CaO)와 물이 만나 수산화칼슘(CaOH2)를 형성한다. 이 수산화칼슘이 표면으로 이동하여 백화현상을 일으킨다.(1차 백화) 또한 수산화칼슘이 공기중의 탄산가스(CO2)와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3)와 물(H2O)가 생성되고, 물은 증발하여 날아가고 흰색 물질인 탄산칼슘이 남게 된다.
ⓑ 발생 위치 : 백화현상은 미장 표면, 시멘트 표면, 착색된 시멘트 표면, 벽돌, 타일 등에서도 발생한다.
ⓒ 발생 특징 : 여름철에는 건조속도가 빨라 시멘트 내부까지도 일부분 건조가 되면서 백화현상을 일으키는 성분이 표면에 이르기전에 내부에서 굳으면서 백화 현상이 억제된다. 반대로 겨울철, 장마철, 그늘진 북향면에는 수분 증발이 빠르지 않아 백화 현상이 많아진다.
(겨울철 > 여름철, ∵ 건조속도↓)
ⓓ 방지 대책
- 10% 이하의 흡수율을 가진 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
- 벽돌면 상부에 빗물막이를 설치한다
- 파라핀 도료를 발라 염류가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 줄눈 모르타르에 방수제를 혼합하여 바른다. (모르타르에 석회 혼입 금지)
☞ 타일붙임 모르타르에 시멘트가루를 뿌리면 백화가 증가하고, 부배합으로 균열이나 타일의 박락이 생긴다!
25. 앞뒤 바퀴의 중앙부에 흙을 깎고 미는 배토판을 장착한 것으로, 주로 노반정지작업에 쓰이는 기계는?
① 모터그레이더(Motor Grader)
② 드래그라인(Drag Line)
③ 트랙터셔블(Tractor Shovel)
④ 백호(Back Hoe)
토공사용 기계
- 파워쇼벨 :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 파기
- 드래그쇼벨 : 6.4m 정도 깊이 이내 경질지반 굴착
- 드래그라인 : 8m 정도의 연질지반의 낮은 곳의 굴착
- 클램쉘 : 좁은 곳의 수직 터파기, 18m까지 가능
- 불도져 : 배토작업, 조종원과 조수가 함께 필요
- 그레이더 : 정지작업용, (로우더:상차작업용)
- 스크레이퍼 : 굴착-싣기-운반-사출-고르기-다지기, 토사의 운반용 자주부 장비, 중거리 정지공사에 적당
이미지 출처 : 건설기계(중장비)종류 / 모터 그레이더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26. 벽돌쌓기 시 벽돌의 물축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 벽돌은 전날 물을 축여 표면이 어느 정도 마른 상태에서 쌓는 것이 좋다.
② 내화벽돌은 점토벽돌보다 물축임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
③ 벽돌 흡수율이 8% 이하일 때는 물축임을 하지 않아도 된다.
④ 물축임을 하지 않으면 모르타르의 수분을 벽돌이 흡수하여 모르타르 강도가 저하한다.
벽돌쌓기 시 벽돌 물축임
: 물축임 하지 않을 시, 벽돌이 모르타르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모르타르 강도가 약해진다. 그래서 물축임이 필요!
[기억할 특이점]
- 콘크리트 벽돌은 전날 물축임하여 표면이 어느정도 건조 후에 사용한다.
- 내화 벽돌은 기건성이므로 물축임을 하지 않는다.
27. 압연강재가 냉각될 때 표면에 생기는 산화철 표피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스패터
② 밀스케일
③ 슬래그
④ 비드
밀스케일
: ① 기준용어. 강재의 열간압연 과정에서 생성되는 강재의 산화피막.
② 주로 철강재를 가열, 압연, 가공 등을 할 때 표면에 붙은 산화철로 된 찌꺼기.
[출처 : 건축구조용어사전, 대한건축학회]
28. 거푸집의 안정성 검토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직하중은 고정하중+충격하중+작업하중을 검토해야 한다.
② 수평하중은 풍압, 콘크리트 타설방향에 따른 편심하중 등으로 그 값을 정확히 예상하기 어렵다.
③ 측압 관련 요인 중 콘크리트의 비중이 낮을수록 측압은 크게 된다.
④ 일반적으로 허용처짐량은 절대처짐량으로 하고 추가 처짐을 고려할 수 있다.
거푸집의 측압 증가 요인
- 물시멘트비(W/C)가 클 때 측압이 커진다.
- 온도가 낮을 때, 습도가 높을 때 측압이 커진다.
- 부어넣기 속도가 빠를 때, 부배합일 때, 진동기 사용시 측압이 커진다.
- 철골 또는 철근과 같은 강재류가 적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 철근량이 작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 단면이 클수록 측압이 증가
- CON'C 비중이 클수록 측압이 증가
- 거푸집 강성이 클수록 측압이 증가
29. 지반의 구성층을 파악하기 위하여 낙하추 또는 화약의 폭발로 지반을 조사하는 방법은?
① 충격식 보링 지하탐사
② 전기저항 지하탐사
③ 방사능 지하탐사
④ 탄성파 지하탐사
지반조사의 종류 중 물리적 탐사
- 탄성파식 : 화약폭발물 등의 진동으로 연약층 깊이나 암반위치 파악
- 전기저항식 : 전기의 저항상태로 지층의 성질 및 변화심도, 지하수의 깊이를 측정
30. 다음 중 창호의 기능검사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내열성
② 내풍압성
③ 기밀성
④ 수밀성
창호의 성능표시 항목
: 강도, 내풍압성, 내충격성, 기밀성, 수밀성, 차음성, 단열성, 방로성, 방화성, 개폐성
2011년 4회 건축시공편 (상) 마침.
다음 글로 4회 마무리 예정입니다.
'기출 건축전공 문제풀이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 건축시공 2011년 4회 문제 분석 - (하) (0) | 2022.06.10 |
---|---|
건축기사 건축시공 2011년 2회 문제 분석 - (하) (0) | 2022.06.08 |
건축기사 건축시공 2011년 2회 문제 분석 - (상) (0) | 2022.06.07 |
건축기사 건축시공 2011년 1회 문제 분석 - (하) (0) | 2022.06.07 |
건축기사 건축시공 2011년 1회 문제 분석 - (상) (0) | 2022.06.07 |
댓글